2007-05-15

한국 낭만주의 - 불연속적 상념들

한국인들이 애초에 계몽주의를 거부하고 있었고 앞으로도 절대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것이 기정사실이라고 한다면, 정치경제적인 맥락과는 전혀 무관하게, 한국에 흐르는 문화적 정서를 일종의 낭만주의로 해석하지 말아야 할 이유도 없다. 그것은 적어도 '수준이 낮다'고 치부하는 것보다 성실하고, '근대적 기획을 받아들일 수 있을만한 일관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해석보다 이성적이며 심지어는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 측면마저도 가지고 있다.

가령 노무현의 대통령 당선과 이후 벌어진 문화적 풍경을 곱씹을 때, 그것을 일종의 유사 파시즘으로 간주하는 대신, 좀 더 큰 차원으로 포섭해주는 일은 그 자체로서 실천적인 의미를 지닌다. 한국이 파시즘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남지 않는다. 반 지성주의를 욕하며 '반 지성주의'라는 단어 외의 어휘를 배우지 않고, 술을 마시며 욕을 하는 그것이 전부일지도. 그러나 현재 한국이 낭만주의의, 변종이겠지만 아무튼 낭만주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미열에 시달리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같은 증상을 이미 겪었고 극복해낸 몇 가지의 선구적 사례를 손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예전 몇 번의 술자리에서 '한국은 독일 낭만주의의 성공 사례를 철저하게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던 것은 바로 그러한 맥락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독일어밖에 가진 게 없었던 '독일인'들이, 문화적인 비약을 일궈내고 그것을 발판삼아 정치적인 통일을 이루어낸 과정을 회고함으로써, 한국은 '문화적 소외'를 주체적으로 극복해낸 거의 유일한 사례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계통론적 맥락으로 인해, 노무현의 당선이 불러온 독특한 포퓰리즘의 해독을 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 드라마와 영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창작 장르는 자생력을 잃어버린 것처럼 보인다.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이 대거 번역되는 것이 '문화저 현상'이라고 해도,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인식은 매우 좁고 얕을 뿐이다. 택도 없어 보이는 '지망생'들이 영화 비평을 하겠다고 지분덕거리고 있는 현상 자체가 오히려 더욱 많은 것을 설명한다. 지금 살아있는 장르는 달랑 둘이고, 그나마 '기존 비평'이 존재하는 것은 영화에 한정되는 일이므로. 문제는, 영화와 드라마 모두 그 자체의 속성으로 인해, 낭만주의 예술가들이 벌였던 실험의 일부를 재현하는 일조차 거의 불가능한 장르라는 것이다. 형식의 파괴와 개인의 내면에 대한 천착이라는 두 방향 모두를 검토해볼 때, 영상 매체가 대중을 염두에 두고 벌일 수 있는 파격에는 엄연한 한계가 존재한다. 그 한계를 곧장, 내가 꾸준히 느껴온 어떤 벽과도 같은 그것에 대입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한국 영화를 논함에 있어서 '흥행 양극화'보다 중요한 게 있다는 의식이 확산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