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28

[북리뷰] 우리 주변의 제제들을 위하여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J.M. 바스콘셀로스, 동녘, 1만원.

가수 아이유의 노래 'Zeze'로 인해 촉발된 논란이 없었다면 나는 이 책의 존재를 완전히 잊고 살았을 것이다. 그런데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니, 적잖은 사람들이 이 책의 주인공인 제제에게 퍽 깊게 감정이입을 하고 있는 것 같았다.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어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다시 읽어보았다.

적어도 이 서평을 접하는 사람이라면 거의 대부분이 이 책의 줄거리를 알고 있을 것이다. 1960년대 브라질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제제라는 소년이 살고 있다. 나이는 여섯 살, 학교에 갓 다니기 시작한, 한창 말썽을 부리는 나이다. 그런데 역자가 붙인 주에 따르면, 제제의 본명은 주제(요셉의 포르투갈식 발음)고, 그의 성은 바스콘셀로스다. 다시 말해 작가와 이름이 같다. 자전적 소설이다.

제제는 말썽을 부리고 가족들에게 늘 얻어맞는다. 가벼운 체벌을 당하는 수준이 아니라, 이빨이 부러지고 얼굴이 피범벅이 되도록 맞는다. 신체적 폭력만이 전부가 아니다. 제제의 아버지는 실업자가 된 상태고, 가족은 가난에 시달린다. 여섯살 소년이 아버지의 크리스마스 선물로 담배를 사 주고 싶어서 구두통을 둘러매고 거리로 나선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교단의 꽃병에 꽃을 꽂아두라고 요구하는데 그것이 전혀 부당한 일로 여겨지지 않는다.

요컨대 <나의 라임오렌지나무>가 배경으로 삼고 있는 1960년대 상파울루 인근 브라질의 모습은 어느 시점까지의 대한민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물론 한국은 기적적인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아버지의 실직 상태'가 그렇게 오래 지속되지 않았지만, 여차하면 아이들을 심하게 두들겨 패는 나라였던 것이다. '구두닦이 소년'만큼 특정 연령대에게, 향수로 포장된 가난의 기억과 공포를 자극하는 요소도 그리 흔치 않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나먼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래서일까. 유독 이 소설만큼은 모국 브라질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의 인기를 한국에서 누리고 있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이렇게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앞서 우리가 살펴본 이유들을 생각해보면 그것은 전혀 이상하거나 놀랍지 않은 일이다. 20세기 중후반부의 한국인 독자들은 어렵지 않게, 늘 두들겨 맞고 있는 가난한 소년 제제에게 감정이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문학평론가 황현산 교수가 트위터에서 '뽀르뚜가는 밍기뉴와 마찬가지로 제제가 상상으로 만들어낸 친구'라는 이야기를 꺼냈을 때 작은 소동이 벌어졌던 이유도 아마 그런 것 때문일 것이다. 제제가 원하는 건 뭐든지 사줄 수 있다는 부유한 포르투갈 사람이 가난한 동네에 들락거리는데, 두 사람은 "우리 사이를 아무도 눈치 채지 못하도록 하자고 굳게 약속"(190쪽)했고 그 약속이 끝까지 지켜진다. 또 다른 상상의 친구인 라임오렌지나무 밍기뉴가 잘려나간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 시점과, 제제의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교통사고로 뽀르뚜가가 '사라지는' 시점이 일치하는 것 역시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제제는 어른이 된다. 하나이며 둘인 상상의 친구를 떠내보내면서 말이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소년의 성장과 눈뜸에 대한 빼어난 작품이다. 하지만 이 책을 바라보는 20세기의 한국인과 21세기의 한국인의 감상이 동일하다면, 그것은 제제가 겪는 고통만큼이나 비극적인 일일 수밖에 없다. 폭력과 학대 속에 혼자 커나가며 상상의 친구로부터 가까스로 위안을 찾는 제제의 이야기가 '평범한 소년의 성장담'쯤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아픈 과거는 문학의 몫으로 남겨두자. 우리 주변에 아직도 '제제'가 있다면, 이제부터라도 사회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만 한다.


2016.02.16ㅣ주간경향 1163호에 수록된 서평 원고. 교열 전 원고로 링크된 것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